도자공예디자인
학과소개
도자기공예는 인간이 가진 개성, 개별적인 사고와 표현을 중요시 합니다. 인간의 가치와 삷의 방향을 제시하고 문화를 주도하는 현대사회의 문화적 잠재의식을 발견하여 도자기공예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미래지향적 교육을 추구합니다.
도자기공예과는 도자전반에 관한 전문적 이론과 실무를 연구/교육함으로써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도예인 양성에 교육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주요교육내용
도자기공예과에서는 도자예술에 대한 이론과 제작과정을 종합적으로 연구/지도함으로써 창의적인 능력을 체득하게 합니다. 전통도자와 현대도자, 산업도자, 환경도예 등 다양한 분야를 교육하며 한국의 토속적인 개성미를 바탕으로한 현대도예의 구현방안에 대해 익히게 될 것입니다.
공부하는 주요 교과목으로는
- 입체도자디자인 : 입체적인 도자디자인을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도자기에 필요한 입체조각을 실시하여 다양한 도자상품의 제작에 대해 배웁니다.
- 장식도자 : 주거공간과 일상생활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인테리어도자기와 또한 인체를 아름답게 꾸미는 도자장신구의 다양한 디자인에 대해 배웁니다.
- 물레성형 : 도자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도구인 물레를 사용하여 좌우 대칭 형태를 반복하여 제작하고 이 과정을 통하여 흙의 성질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기초를 배웁니다.
- 유약 및 소성실험 : 발색원소의 종류와 발색변화의 조건, 안료의 종류, 제조방법, 색소지 제조방법 등을 익혀 유약에 의한 표현기법을 이용한 도자제품 제작에 대해 배웁니다.
- 도자재료 및 기법 : 도자재료에 대한 이론적인 학문연구와 도자공예에 대한 성형기법 및 소성 과정에 이르는 기법을 강의와 실기를 통해 배웁니다.
졸업 후 진로
2005년도 교육통계에서 도자기공예과에 관련된 학과의 졸업자는 61명으로 이중 남자가 29.7%, 여자가 80.3%이고 졸업을 한 후에 취업을 한 비율은 57.4%, 학교로 진학을 한 비율은 21.3%입니다.
▶이 자료는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조사 결과입니다.
의상디자인학과에 관련된 학과를 2004년 2월에 졸업하고 1년 6개월 후인 2005년 8월 졸업생들의 취업조사에서 취업을 한 직장으로는 민간회사 개인사업체, 프리랜서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이들 직장에서 제품디자이너, 마케팅 관련 사무원, 화가 및 조각가, 기술/기능계 상사, 시각디자이너와 같은 직업인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자료는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실시한 졸업생 취업조사 결과입니다.
도자기공예과에는 관련된 자격으로는 [도예공예산업기능사, 도자공예기능사, 샵마스터, 저문도예가, 실기교사] 등이 있습니다.